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참고 목적으로만 이용부탁드립니다.
Q1. 다음 지구대기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지구대기권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극회권, 열권, 중간권, 성층권, 대류권으로 나뉜다.
② 대류권은 평균 높이 11km까지이며, 대류 및 기상현상이 발생되는 구역이다.
⓷ 성층권은 약 11~50km까지이며, 상승할수록 온도가 강하하는 특성이 있다.
④ 중간권은 약 50~80km까지이며, 상승할수록 온도가 강하하는 특성이 있다.
Q2. 대체적으로 무인항공기의 사고비율은 유인기에 비해 적다.
⓶ X
Q3. 리튬폴리머 배터리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⓵ 장기간 배터리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완전히 충전 후 보관한다.
② 부풀어 오른(스웰링) 배터리는 사용을 금지한다.
③ 배터리를 폐기할 때는 완전히 방전 후 폐기한다.
④ 소금물을 통해 배터리를 방전할 경우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방전한다.
Q4. 다음중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 등록요건이 아닌 것은?
⓶ 자본금 5000만원 이상
Q5. 다음 중 항공교통업무 제공에 따른 공역의 구분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?
① 관제공역 – A등급 공역
② 비관제공역 – F등급 공역
⓷ 관제공역 – G등급 공역
④ 관제공역 – D등급 공역
Q6.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항공기사용사업을 경영하게 하거나 등록증을 대여하여서는 안된다.
⓵ O
Q7. 인적요인은 수행의 증진 및 인간 가치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.
⓵ O
Q8. 인적요인의 대표적 모델인 쉘 모델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?
① Liveware
② Software
⓷ Human
④ Environment
Q9. 한랭전선(Cold front)은 인접한 두 기단 중 한랭기단의 찬 공기가 온난기단의 따뜻한 공기 쪽으로 파고들 때 형성되는 전선을 말한다.
⓵ O
Q10. 관성측정장치(IMU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무인비행장치의 자세각, 자세각속도, 가속도를 측정 및 추정
② 일반적으로 가속도계, 자이로스코프, 지자기센서를 포함
③ 무인비행장치의 자세를 안정화 하기 위해 활용
⓸ 진동에 매우 강인하여 진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
Q11. 인적요인은 한가지 분야가 아닌 다양한 학문으로 구성되어 있다.
⓵ O
Q12. SHELL 모형에서 L-H는 인간과 절차, 매뉴얼 및 체크리스트 레이아웃 등과 같은 시스템의 비 물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.
⓶ X
Q13.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 중, 그 특징이 다른 것은?
① 연령
② 건강상태
⓷ 수면상태
④ 업무량
Q14.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 변경신고는 사유 발생한 날로부터 30일이내 하여야 한다.
⓵ O
Q15. 다음 중 관제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관제권은 계기비행항공기가 이착륙하는 공항에 설정되는 공역이다.
⓶ 관제권은 하나의 공항에 대해 설정하며, 다수의 공항을 포함할 수는 없다.
③ 관제권은 수평적으로 공항중심(APR)로부터 5NM까지 설정할 수 있다.
④ 관제권은 수직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 3,00ft 또는 5,000ft까지 설정할 수 있다.
Q16.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무인멀티콥터는 안전성인증검사 대상이다.
⓵ O
Q17. 다음 중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
⓶ 비행금지구역을 표시할 때는 금지를 뜻하는 Prohibit의 첫글자인 P를 사용하여 표시한다.
Q18.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 등록 결격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사람, 외국정부 또는 외국의 공공단체
⓶ 위의 ⓵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주식이나 지분의 3분의 1이상 소유한 경우
③ 피성년후견인, 피한정후견인 또는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사람.
④ 항공안전법을 위반하여 금고이상의 실형을 선고받은 자
Q19. 초경량비행장치소유자 등은 법에 따른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. 다음 초경량비행장치 신규 신고 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신규신고서류에는 초경량비행장치를 소유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가 포함된다.
② 신규신고서류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제원 및 성능표가 포함된다.
⓷ 신규신고서류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사진(가로 10cm*세로 15cm의 정면사진)이 포함된다.
④ 신규신고는 안전성 인증을 받기 전(안전성 인증대상이 아닌 경우, 서유 또는 사용할 권리가 있는 날부터 30일 이내)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사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.
Q20.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사고가 발생한 경우 조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?
⓶ 초경량비행장치가 추락하였으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사고에 해당하지 않는다.
Q21.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안전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?
⓵ 취미활동으로 2kg이하의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종자준수사항을 준수할 필요가 없다.
② 비행금지구역이나 관제권에서 비행할 경우에도 무게나 비행 목적에 관계없이 반드시 비행승인을 받아야한다.
③ 사방, 천장이 막혀있는 실내에서 2kg 이하의 무인비행장치를 비행할 경우, 적절한 조명장치가 있다면 야간이라도 비행승인 없이 비행할 수 있다.
④ 2kg 이하의 취미용 드론을 이용하여 항공사진 촬영할 경우라도 국방부에 촬영허가를 받아야 하며, 관제권이나 비행금지구역인 경우에는 별도로 비행승인도 받아야한다.
Q22. 다음 중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장치에 사용되는 프로펠러 재질이 아닌 것은?
⓵ 티타늄
② 카본
③ 나일론(플라스틱)
④ 목재
Q23. 기상악화, 예견하지 못한 정비 등 경미한 사항에 대한 사업계획의 변경은 신고하면 된다.
⓵ O
Q24.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자가 요금표 등을 갖추어 두지 아니하거나, 거짓 사항을 적은 요금표 등을 갖추어 둔자에게 과태료 500만원 이하를 부과할 수 있다.
⓶ X
Q25. 아직까지 무인기의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비율이 낮은 이유는 무인기의 자동화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인간 개입의 필요성이 적기 때문이다.
⓵ O
Q26. 다음 중 주의공역에 속하지 않는 공역은?
⓵ 정보구역
② 군작전구역
③ 경계구역
④ 위험구역
Q27. 브러쉬리스 모터에 사용되는 전자변속기(ESC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⓵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
Q28. 무인동력비행장치는 자체중량이 150kg 이하 비행기, 헬리콥터, 또는 멀티콥터를 말한다.
⓵ O
Q29. 다음 중 위성항법시스템(GNSS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실내에서도 동작 가능하다.
② 주로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.
③ DNSS 안테나는 내부나 하부에 장착하는 것이 적절하다
⓸ 위성 신호 교란에 의해 위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.
Q30. 기압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⓵ 고도에 따른 대기 압력 변화를 측정해서 고도를 측정한다.
② 지면으로부터의 고도인 지면고도만 측정할 수 있다.
③ 해수면으로부터의 고도인 해수면 고도만 측정할 수 있다.
④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높아진다.
Q31. 비행제어컴퓨터(FC)의 작동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자세제어를 위해 관성측정장치(IMU) 센서 활용
⓶ 센서 오차가 발생해도 정밀한 비행제어 수행 가능
③ 제자리 비행 등 위치제어를 위해 위성항법시스템(GNSS) 활용
④ 제어이득 튜닝을 통한 지행제어 성능 조절
Q32. 인적요인이란 인간이 업무 및 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여러 상황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.
⓵ O
Q33. 다음 무인비행장치 전문교육기관 교육과정(2년 이내, 같은 종류 교육)이수자는 조종자증명 학과시험이 면제된다.
⓵ O
Q34. 리튬폴리머(LiPo) 배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충전 시 셀 밸런싱을 통한 셀 간 전압 관리 필요
② 강한 충격에 노출되거나 외형이 손상 되었을 경우 안전을 위해 완전 방전 후 폐기
⓷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 급속충전과 급속방전 필요
④ 장기간 보관시 완전충전 상태가 아닌 50~70% 충전 상태로 보관
Q35. 비행제어컴퓨터(FC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⓶ 자세모드/GPS모드 비행을 하기 위해 비행제어컴퓨터 필요
Q36. 무인기의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비율은 유인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 그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⓵ 유인기와 비교할 때 무인기는 자동화율이 낮기 때문이다.
② 유인기에 비해 무인기는 인간 개입의 필요성이 적기 때문이다.
③ 무인기는 아직까지 기계적 신뢰성이 낮기 때문이다.
④ 설계 개념상 Fail-safe 개념의 시스템 이중설계 적용이 미흡하기 때문이다.
Q37. 무인비행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범위에서 비행할 경우에는 특별비행 승인을 받아야 한다.
⓵ O
Q38. 지자계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자기장을 측정하여 기체 기수 방향 측정
② 센서 및 기체 주위의 금속 또는 자성물체로 인해 센서 오차 발생 가능
⓷ 기체의 고도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 가능
④ 기체의 기수 방향 제어를 위해 활용
Q39. 다음 기단 성질의 분류에 대한 연결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열대해양성(mT, mairtime Tropical) : 온난, 다습, 불안정
② 한대대륙성(cP, continertal Polar) : 한랭, 건조, 안정
⓷ 한대대륙성(cP, continental Polar) : 서늘, 다습, 불안정
④ 극대륙성(cA, continerntal) : 한랭, 건조
Q40. 다음 조종자증명을 받아야 하는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?
⓵ 무인비행기 중에서 연료중량을 포함한 최대이륙중량이 250그램 이상인 것
Q41. 무인비행장치를 야간에 비행할 경우에는 특별비행 승인을 받아야 한다.
⓵ O
Q42. 벡터에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.
① 가속도
② 속도
③ 양력
⓸ 질량
Q43. 바람속도(Wind Velocity)는 바람의 벡터 성분을 표현하는 것으로서, 스칼라 양인 풍속(Wind Speed)과는 같다.
⓶ X
Q44. 다음 뇌우의 형성조건이 아닌 것은?
① 불안정 대기
② 상승 운동
⓷ 강한 대류활동
④ 높은 습도
Q45. 지구를 둘러쌓고 있는 지구 대기권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특성에 따라 지표면에서부터 대류권, 성층권, 중간권, 열권, 외기권으로 나누고 있다.
⓵ O
Q46. 사용의 편리성, 인적에러의 감소는 인적요인의 목적 중 인간 가치의 증진에 해당한다.
⓶ X
Q47.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자는 요금표 및 약관을 영업소나 그 밖의 사업소에서 항공교통이용자가 잘 볼 수 있는 곳에 갖추어 두고, 항공교통이용자가 열람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.
⓵ O
Q48. 다음 국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구름과 거리가 먼 것은?
① 층운(ST, Stratus)
② 권층운(CS, Cirrocumulus)
③ 적운(CU, Cumulus)
⓸ 적난운(CB, Cumulonimbus)
Q49. 리튬폴리머 배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배터리 1셀의 정격전압은 3.7V이다.
② 배터리 용량은 mAh 단위로 표기한다.
⓷ 방전률이 클수록 전압이 높다.
④ 4셀 배터리 정격전압은 14.8V이다.
Q50. 다음 이,착륙할 때 방향에 따른 지상풍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정풍(Head Wind) : 항공기 전면에서 뒤쪽으로 부는 바람.
② 배풍(Tail Wind) : 항공기 뒤쪽에서 앞으로 부는 바람.
③ 측풍(Cross Wind) : 측면에서 부는 바람
⓸ 하강기류(Down-Draft) : 지상에서 하늘 쪽으로 부는 바람
Q51. 수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수면은 크게 REM 수면과 비REM수면으로 구분된다.
② REM 수면은 심장박동 및 호흡이 불규칙하며 꿈을 꾸는 단계이다.
⓷ 3단계 수면은 외부에서 오는 정보처리를 멈추고 뇌의 뉴런이 거대하고 빠른 전기파를 생성한다.
④ 수면이 부족할 경우에는 시각지각, 단기기억, 논리적 추론 등의 저하를 가져온다.
Q52. 인적요인은 인간과 관련주변요소와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다.
⓶ X
Q53. 무인비행장치는 무인동력비행장치와 무인비행선으로 구분되며, 무인동력비행장치 중 무임비행기, 무인헬리콥터, 및 무인멀티콥터는 연료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150킬로그램 이하이다.
⓵ O
Q54. 다음 무인비행장치 전문교관으로 등록하려는 사람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⓸ 해당 분야 실기평가과정 이수증명서(전문교관 등록신청자에 한함)
Q55. 다음 중 모든 항공기에게 비행정보업무만 제공되는 공역으로, 초경량비행장치가 비행하는 공역에 해당하는 것은?
① A등급 공역
⓶ D등급 공역
③ E등급 공역
④ G등급 공역
Q56. 다음 중 항공사업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?
⓷ 사업주의 편의향상
Q57. 무인비행장치에 작용하는 4가지 힘에 대한 설명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
⓵ 추력, 양력, 항력, 무게
② 추력, 양력, 무게, 하중
③ 추력, 모멘트, 항력, 중력
④ 비틀림력, 양력, 항력, 중력
Q58. 향후 기술발전을 통해 무인기 인적에러 관련 사고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할 것이다.
⓶ X
Q59 다음 중 2kg 이하의 취미용 드론도 비행승인을 받아야 하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관제권에서 비행하는 경우
②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하는 경우
⓷ 훈련구역에서 비행하는 경우
④ 150m이상으로 비행하는 경우
Q60. 다음 바람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?
① 풍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말한다.
② 풍속은 공기가 이동한 거리와 이에 소요된 시간의 비이다.
⓷ 바람속도는 스칼라 양인 풍속과 같은 개념이다.
④ 바람시어는 바람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풍속 변화이다
Q61. 다음 중 과태료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?
①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을 받지 않고 비행한 사람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.
⓶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준수사항을 따르지 않고 비행한 사람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.
③ 초경량비행장치에 표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표시한 초경량비행장치소유자등에게는 100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한다.
④ 초경량비행장치사고에 관한 보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또는 소유자등은 3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.
Q62.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, 항공기대여업 및 항공레저스포츠사업에 사용하려는 자는 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.
⓵ O
Q63. 프로펠러 진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⓸ 프로펠러 진동을 줄이기 위해 밸런싱 필요
Q62. 다음 중 ‘안전, 국방상’ 그 밖의 이유로 항공기의 비행을 금지하는 공역‘은?
⓸ 비행금지구역
Q63. 등압선(isobar)은 기압이 같은 지점을 연결해 놓은 선이다.
⓵ O
Q64.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의 사업범위, 상호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신고를 하여야 한다.
⓵ O
Q65. 다음 초경량비행장치 안전성인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안전성인증 대상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.
② 초경량비행장치 중에서 무인비행기도 안정성인증 대상이다.
③ 무인비행장치 안정성인증 대상은 최대이륙중량이 25킬로그램을 초과하는 것이다
⓸ 초경량비행장치 안전성인증 기관은 기술원(항공안전기술원)만이 수행한다.
Q66. 다음 무인비행장치 말소신고 사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멸실되었거나 해체된 경우
⓶ 존재 여부가 1개월 이상 불분명한 경우
③ 외국에 매도된 경우
④ 신고대상 기체가 소유자 변경등으로 인하여 미신고 대상이 된 경우
Q67.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 변경신고와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것은?
① 자본금 감소 시 신고
⓶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5일 이내 신고
③ 대표자 변경 시 신고
④ 사업범위 변경 시 신고
Q68. 다음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증명 종류별 응시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1~3종 – 만 14세 이상인 사람
② 4종 – 만 10세 이상인 사람
⓷ 2종 – 1종 또는 2종 무인멀티콥터 조종시간이 총 20시간 이상인 사람
④ 2종 – 3종 조종자증명인의 경우, 2종 무인멀티콥터 조종시간 7시간 이상인 사람
Q69. 브러쉬 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⓸ 반영구적인 모터 수명
Q70. 프로펠러 피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프로펠러의 두께를 의미
⓶ 프로펠러가 한 바퀴 회전했을 때 앞으로 나아가는 기하학적 거리
③ 프로펠러 직경이 클수록 피치가 작아짐.
④ 고속 비행체일수록 저피치 프로펠러가 유리
Q71. 다음 중 최대이륙중량이 15kg인 무인멀티콥터를 비행할 때 비행승인을 받아야 하는 공역이 아닌 것은?
① 관제권
② 비행금지구역
③ 지표면에서부터 200m 고도
⓸ ⓵, ⓶가 아닌 150m 미만의 구역
Q72. 브러쉬리스 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2행정 사이클과 4행정 사이클이 존재한다.
② 전기에너지를 발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,
③ 글로우 플러그를 통해 작동한다.
⓸ 전자변속기를 통해 회전수를 제어한다.
Q73. 대체적으로 무인항공기의 사고비율은 유인기에 비해 적다
⓶ X
Q74. 프로펠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단면이 에어포일 형태인 회전 날개의 원리로 추력을 발생
⓶ 프로펠러의 규격은 D * P로 나타내며 D는 피치, P는 직경을 의미
③ 회전 방향에 따라 정피치 또는 역피치 프로펠러를 구분해서 사용 및 장착 필요
④ 프로펠러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을 일치 시키는 밸런싱을 통한 진동 최소화 필요
Q74.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?
① 비료 또는 농약살포, 씨앗뿌리기 등 농업지원
② 사진촬영, 육상해상 측량 또는 탐사
③ 항공 운송업
④ 조종교육
Q75. 피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다양한 항공분야에서 피로관리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
② 인간은 피로할 경우 시야가 어두어지며 무기력해진다.
③ 급성피로와 만성피로 모두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.
④ 급성피로는 휴식, 식이, 운동 등을 통해 회복된다.
Q76.다음 국제표준대기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해면상 표준기압은 29.82inhg(1013.25hPa)이다.
② 중력가속도는 9.80665ms이다.
③ 해면상 기운은 15’C이다.
④ 결빙온도는 해면상 0℃이다.
Q77 다음 중 ‘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활동에 대한 제한이 필요한 공역’은?
① 비행제한구역
② 비행금지구역
③ 경계구역
④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구역
Q78. 다음 항공안전법 목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항공안전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견고되는 방식을 따른다.
② 항공안전법은 항공기, 경량항공기, 초경량비행장치로 구분, 안전사항을 규정한다.
③ 항공안전법은 효율적인 항행를 위한 방법에 대한 사항을 규정한다.
④ 항공안전법은 항공안전을 책임지는 국가의 권리와 항공사업자 및 항공종사자등의 의무에 대한 사항을 규정한다.
Q79. 다음 중 통제공역에 속하지 않는 공역은?
① 조언구역
② 비행금지구역
③ 비행제한구역
④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구역
Q80. 다음 중 비행 동력 생성을 위해 필요한 장치가 아닌 것은?
① 모터
② 배터리
③ 지상 통제 장치
④ 프로펠러
Q81. 프로펠러 회전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은 항상 시계방향이다
② 시계방향 회전을 CW, 반시계 방향 회전을 CCW라고 칭한다.
③ 정피치 프로펠러를 뒤집어서 장착하면 역피치 프로펠러가 된다.
④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직경을 변경하면 된다.
Q82. 다음 항공안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초경량비행장치 범위(구분)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① 동력비행장치
② 행글라이더
③ 비행선류
④ 무인비행장치
Q83. 다음은 비행 중 세로축으로 뱅크시킨 기체에 나타난 현상이다. 맞는 것은 무엇인가?
① 뱅크시킨 기체는 엔진 또는 모터가 회전하는 한 속도와 관성이 있음으로 선회를 지속한다.
② 뱅크시킨 기체는 모터가 회전하는 한 속도와 관성이 있음으로 직진한다.
③ 합력의 방향이 아래를 향함으로 기수가 내려간다.
④ 뱅크를 주더라도 상반각으로 인해 복원한다.
Q84. 다음 무인비행장치 조종자가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?
①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의 야간에 비행하는 행위
② 주류 등의 영향으로 조종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상태에서 조종하는 행위
③ 비행 중 주류 등을 섭취하거나 사용하는 행위
④ 무인비행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범위에서 조종하는 행위
Q85. 다음 중 적법하게 초경량비행장치를 운용한 사람은?
① A씨는 이착륙장을 관리하는 사람과 사전에 협의하여, 비행승인 없이 이착륙장에서 반경 2.5km 범위에서 100m 고도로 비행하였다.
② B씨는 비행승인 없이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구역에서 200m 고도로 비행하였다.
③ C씨는 비행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50m 고도로 비행하였다.
④ D씨는 비행승인 없이 관제권이 운용되는 공항으로부터 8.2Km지점에서 100m 고도로 비행하였다.
Q86. 지구 대기권의 대기의 성분의 부피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?
① 질소(N2) 21%
② 산소(O2) 77%
③ 아르곤(Ar), 이산화탄소(CO2) 등 기타 2%
④ 고도 80KM까지 균일한 구성분포를 유지하여 균질권(homosphere)이라고 함
Q87. 다음 초경량비행장치 신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초경량비해행장치 신고는 초경량비행장치를 소유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자가 국토교통부장관(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에 위임)에게 신고하는 것이다.
② 초경량비행장치 신고는 연료의 무게를 제외한 자체무게가 12킬로그램 이상인 무인동력비행장치가 대상이다.
③ 시험, 조사, 연구개발을 위하여 제작된 초경량비행장치는 신고를 할 필요가 없다.
④ 판매되지 아니한 것으로 비행에 사용되지 아니하는 초경량비행장치는 신고를 할 필요가 없다.
Q88. 다음 중 사용목적에 따른 공역의 구분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?
① 관제공역 – 조언구역
② 비관제공역 – 정보구역
③ 통제공역 – 비행금지구역
④ 주의공역 – 군작전구역
Q89. 다음 무인멀티콥터 조종자증명 종류와 종류별 업무범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4종 – 최대이륙중량 250g초과, 2kg 이하 무인멀티콥터 조종행위
② 3종 – 최대이륙중량 2kg초과, 7kg 이하(4종 업무범위 제외) 무인멀티콥터 조종 행위
③ 2종 – 최대이륙중량 7kg초과, 25kg 이하 무인멀티콥터 조종 행위
④ 1종 – 최대이륙중량 25kg초과, 무인멀티콥터(2~4종 업무범위 포함) 조종 행위
Q90. 다음 고기압과 저기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고기압은 중심 기압이 주변보다 높은 곳을 말함
② 고기압권 내의 바람은 북반구에서는 고기압 중심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불어나감.
③ 저기압권 내 지상에서의 바람은 북반구에서 저기압 중심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불어 들어옴.
④ 저기압은 중심 기압이 주변보다 낮은 곳을 말함.
Q91.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 등록시 사업계획서에 포함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?
① 사업수지계산 증명서류
② 사업목적 및 범위
③ 초경량비행장치 안정성 점검계획 등 안전관리대책
④ 사용시설 장비, 종사자 인력의 개요
Q92. 초경량비행장치가 비행 가능한 공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관제권과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하려는 경우에는 비행승인이 필요하다.
② 이착륙장을 관리하는 자와 사전에 협의된 경우에는 이착륙장 중심으로부터 반지름 3km 밖에서 고도 500ft 미만으로 비행할 수 있다.
③ 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이 아닌 곳에서는 지표면, 수면 또는 물건의 상단에서 150m 이상에서 비행하는 경우에는 비행승인이 필요하다.
④ 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해당 초경량비행장치 중심으로 수평거리 150m(500ft) 범위 안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상단에서 150m 이상에서 비행하는 경우에는 비행승인이 필요하다
Q93. 다음 무인비행장치 조종자증명에서 가능한 신체검사증명서류가 아닌 것은?
① 국가기관이 정한 모든 신체검사 증명서
② 항공종사자 신체검사증명서
③ 제2종 보통이상의 자동차운전면허증
④ 제2종 보통이상의 지동차 운전면허를 발급받는데 필요한 신체검사증명서
Q93.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가 적법하게 비행한 경우가 아닌 것은?
① 초경량비행장치비행구역(UA)에 주간에 500ft 미만으로 비행
② 초경량비행장치비행구역(UA)에 야간에 500ft 미만으로 비행
③ 관제권, 비행금지구역이 아닌 곳에서 25kg 이하의 무인비행장치가 100m 고도로 주간에 비행
④ 관제권에서 비행승인을 받아 비행
Q94. 다음 설명이 맞으면 O, 틀리면 X 하시오.
최대이륙중량이 2kg인 무인멀티콥터를 공항으로부터 8.5km인근에서 비행하려고 할 때, 특별한 제약 없이 비행할 수 있다.
① O ②X
Q95. 브러쉬리스(BLDC) 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모터 권선의 전자기력을 이용해 회전력 발생
② 회전수 제어를 위해 전자변속기(ESC)가 필요
③ 모터의 규격에 KV(속도상수)가 존재하며, 10V 인가했을 때 무부하 상태에서의 회전수를 의미
④ KV가 작을수록 회전수는 줄어드나 상대적으로 토크가 커짐
Q96. 다음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증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증명 기준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.
② 부정한 방법으로 조종자증명을 받은 경우, 조종자증명을 취소한다.
③ 효력정지 기간에 초경량비행장치를 비행한 경우, 조종자증명을 취소한다.
④ 조종자준수사항 위반의 경우, 2년 이내 기간을 정하여 효력정지를 명할 수 있다.
Q97. 초경량비행장치 신고는 연료의 무게를 제외한 자체무게가 12킬로그램 이상인 무인동력비행장치가 대상이다.
① O ②X
Q98. 리튬폴리머 배터리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2.6V 이하로 전압이 떨어질 경우 재충전이 불가할 수 있다.
② 과충전 및 과방전에 주의한다.
③ 배터리 완전 충전 후 충전기에서 분리한다.
④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 셀 밸런싱은 가급적 피한다.
Q99. 다음 냉각에 의해 형성된 안개의 종류가 아닌 것은?
① 전선안개
② 복사안개
③ 이류안개
④ 활승안개
Q100.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 등록 취소처분 받은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사용사업 등록이 제한된다.
① O ② X
Q101. 다음 초경량비행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초경량비행장치는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.
② 초경량비행장치는 대통령령(시행령)으로 기준을 정한다.
③ 초경량비행장치에는 무인비행장치가 포함된다.
④ 초경량비행장치 즉 무인동력비행장치는 자체중량이 150킬로그램 이하이다.
Q102. 특별비행 승인을 통해 무인비행장치를 야간에 비행할 때 5km 밖에서 인식가능한 정도의 충동방지등을 장착한 경우에는 별도의 관찰자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.
① O ② X
Q103. 다음 무인비행장치 전문교관 등록취소 사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항공안전법에 따른 15일 이상의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
② 허위로 작성된 비행경력증명서등을 확인하지 아니하고 서명 날인한 경우
③ 비행경력증명서등을 허위 제출한 경우
④ 실기시험위원으로 지정된 사람이 부정한 방법으로 실기시험을 진행한 경우
Q104. 항공안전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는 권고되는 방식을따르며, 항공기 등의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에 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.
① O ② X
Q105. SHELL 모형에서 L-L은 사람 간의 관계작용을 의미하며 성격, 의사소통, 문화 등이 중요시 여겨진다.
① O ② X
Q106. 다음 중 25kg이하인 무인비행장치만을 사용하여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을 하려는 자의 등록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개인의 경우 자산평가액 3천만원 이상
② 조종자 1명 이상
③ 초경량비행장치(무인비행장치) 1대 이상
④ 제3자 보험가입
Q107. 다음 항공예보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③ 공역 및 항공로 기상예보
Q108. 다음 기압고도계 설정방식에 대한 설명 중 관제탑에서 제공하는 고도 압력으로 항공기의 기압고도계를 맞추는 방식으로 옳은 것은?
① QNH 방식
Q109.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추상체는 간상체보다 그 수가 많다.
Q110.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의 등록시 사업계획서에 들어가는 내용이 아닌 것은?
① 사업목적 및 범위
② 안전관리대책
③ 사업 개시 예정일
④ 사업 개시 후 3개월간 운용 재원 계획
Q111. 기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중 비행 중 기체에 작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?
① 기체속도에 따라 무게중심 기준으로 상승하는 힘을 양력이라 한다.
② 기체의 양력을 방해하는 힘은 중력이다.
③ 항력을 이기고 전진하는 힘을 추력이라고 한다.
④ 기체에 작용하는 힘은 CG포인트 보다는 추력이 우선한다.
Q112. 다음 조종자증명을 받아야 하는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무인비행기 중에서 연료중량을 포함한 최대이륙중량이 250그램 이상인 것
② 무인헬리콥터 중에서 연료중량을 포함한 최대이륙중량이 250그램 이하인 것
③ 무인비행선 중에서 연료 중량을 포함한 최대이륙중량이 12킬로그램 이하인 것.
④ 항공레저스포츠 사업에 사용되지 않은 행글라이더, 패러글라이더 및 낙하산류
Q113. 다음 기압고도계 설정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관제에 사용되는 전이고도 설정기준은 대한민국은 18,000ft, 미국은 14,000ft 임
Q114. 비행제어컴퓨터(FC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경로점 비행, 자동이착륙, 자동귀환 등을 수행하기 위해 비행제어컴퓨터 필요
② 자세모드/GPS모드 비행을 하기 위해 비행제어컴퓨터 필요
③ 비행제어컴퓨터를 통해 통신 두절 시 자동귀환 비행 가능
④ 탑제 센서와 무관하게 비행제어컴퓨터를 통해 자동비행 수행가능
Q115. 다음 저층 바람시어의 강도에 대한 연결 설명 중 옳은 것은?
① 약함 - < 4.1(knot/100feet)
② 보통 – 4.1~8.0(knot/100feet)
③ 강함 – 8.1~11.9(knot/100feet)
④ 아주강함-≥ 12.0(knot/100ft)
Q116. 조종기 및 지상통제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지상통제장치를 통해 비행체로부터 데이터를 받으며 비행상태 파악 가능
② 기체 전원을 먼저 인가하고 조종기 및 지상통제장치 전원을 이후에 인가하는 것이 적절
③ 전원을 차단할 때는 조종기 및 지상통제장치 전원을 마지막에 차단하는 것이 적절
④ 안전을 위해 조종기 및 지상통제장치와 통신이 두절 되었을 경우 자동귀환 설정 필요
Q117. 다음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의 항공기상 특보의 종류가 아닌 것은?
④ 공항경보(Aerodrome Warning)
Q118. 다음대기의 열전달에 대한 연결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복사 :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총칭
② 전도 : 분자운동을 통한 에너지 전달 방법
③ 대류 : 밀도가 작은 부분은 상승하고 밀도가 큰 부분은 하강하는 이동현상
④ 이류(Advection) : 연직방향으로의 유체 이동 현상
Q119. 다음 구름의 분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구름은 상층운, 중층운, 하층운, 수직운으로 분류하며, 운형은 10종류가 있다.
② 상층운은 운저고도가 보통 6km이상으로 권운, 권적운, 권충운이 있다.
③ 중층운 : 중위도지방에서는 구름 저면의 높이가 2~6km정도이고, 중적운(), 중층운()이 있다.
④ 하층운은 운저고도가 보통 2KM 이하이며, 적운, 적란운이 있다.
Q120. 다음 무인비행장치 전문교관으로 등록하려는 사람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전문교관 등록신청서
② 비행경력증명서
③ 해당분야 조종교육교관과정 이수증명서(지도조종자 등록신청자에 한함)
④ 해당분야 실기평가과정 이수증명서(전문교관 등록신청자에 한함)
Q121. 다음 항공안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④ 항행안전시설 안전에 관한사항
Q122. 전자변속기(ESC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브러쉬리스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
② 전자변속기 허용 전압에 맞는 배터리 연결 필요
③ 가급적 허용 전류가 작은 전자 변속기 장착이 안전
④ 발열이 생길 경우 냉각 필요
Q123. 푸르키네 현상에 따르면 다음의 보기 중에서 어두운 밤에 가장 잘 보이는 색은?
② 파랑
Q124. 다음 구름의 분류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상층운 : 운저고도가 보통 6KM 이상이고, 권운, 권적운, 권층운이 있다.
② 중층운 : 중위도지방에서는 구름 저면의 높이가 2~6km 정도이고, 중적운, 중층운이 있다.
③ 하층운 : 중위도지방에서는 운저고도가 2km이하이며, 층운, 난층운, 층적운이 있다.
④ 수직운 : 보통 하층운 고도로부터 상층운 고도에까지 확장하는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이며, 적운, 적란운이 있다.
Q125. 무인회전익 비행장치의 특징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?
④ 배면비행
Q126. 다음 항공안전법의 적용 및 적용특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민간항공기는 항공안전법 전체를 적용
② 군용항공기와 관련 항공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은 항공안전법 미적용
③ 세관업무 항공기와 관련 항공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은 항공안전법 적용
④ 경찰업무 항공기는 공중충돌 등 항공기사고 예방을 위한 사항만 적용
Q127.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?
② 음주시에 REM 수면은 억제된다.
Q128. 프로펠러 직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만드는 회전면의 지름
② 프로펠러 직경에 따라 추력 변화
③ 프로펠러 직경과 피치는 프로펠러의 규격
④ 프로펠러 직경이 짧은 수록 대형기체에 유리
Q129. 비행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요인으로는 시각, 피로, 수면, 약물 등이 있다.
① O ② X
Q130. 다음 중 사용목적에 따른 공역의 종류가 다른 것은?
① 관제권
② 비행장교통구역
③ 관제구
④ 훈련구역
Q131. 해륙풍은 육지와 바다의 비열 차이로 밤낮의 해상과 육상의 기온경도가 바뀌게 되어, 밤에는 육풍, 낮에는 해풍이 부는 바람 현상이다.
① O ② X
Q132. 초경량비행장치란 항공기와 경량항공기를 포함하여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장치로서 , 좌석 수등 국토교통부령(시행규칙)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동력비행장치, 행글라이더, 패러글라이더, 기구류 및 무인비행장치 등을 말한다.
① O ② X
Q133. 다음 중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
① 항공사격, 대공사격 등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항공기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하는 공역이다.
② 비행금지구역을 표시할 때는 금지를 뜻하는 Prohibit의 첫글자인 P를 사용하여 표시한다.
③ 비행금지구역을 표시할 때는 금지를 뜻하는 Restrict의 첫글자인 R를 사용하여 표시한다.
④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설정하는 공역이다.
Q134. ‘항공기,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과 수색 또는 구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공역’은?
① 주권공역
② 비행정보구역(FIR)
③ 방공식별구역
④ 공해
Q135. 인간 시각의 특징 중 입체시는 거리감 판단 및 입체감에 영향을 미친다.
① O ② X
Q136. 다음중 항공사업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?
① 대한민국 항공사업의 체계적인 성장 기반 마련
② 항공사업의 질서유지
③ 사업주의 편의향상
④ 국민경제의 발전
Q137. 다음 중 관제권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?
① 비행정보구역 내의 B, C 또는 D 등급 공역 중에서 시계 및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제공하는 공역을 말한다.
② 계기비행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공항 주위에 설정되는 공역이다.
③ 설정 범위는 수평적으로는 중항중심(ARP)으로부터 반경 5NM, 수직적으로는 지표면으로부터 3,000ft 도는 5,000ft까지의 공역이다.
④ 비행장으로부터 8km 밖에서는 별도 승인 없이 초경량비행장치를 비행할 수 있다.
Q138. 브러쉬리스 모터에 사용되는 전자변속기(ESC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
② 모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
③ 모터의 무게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
④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서 사용
Q139. 다음 무인비행장치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금지사항이 아닌 것은?
① 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낙하물 투하 행위
② 사람이 많은 곳 상공에서 인명 또는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비행 행위
③ 관제, 통제, 주의공역에서의 비행행위
④ 무인비행장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비행행위
Q140.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무인멀티콥터는 안전성인증검사 대상이다.
① O ② X
Q141.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사람도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을 등록하여 운영할 수 있다.
① O ② X
Q142. 2017년 3월 항공법 분법 시에 새롭게 분리한 법률과 관련이 없는 법률은?
① 항공안전법
② 항공보안법
③ 항공사업법
④ 공항시설법
Q143. 위성항법시스템(GNSS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3개 이상의 위성 신호가 수신되면 무인비행장치의 위치 측정 가능
② 무인비행장치의 위치와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활용
③ 위성신호 교란, 다중경로 오차 등 측정값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요인 존재
④ 수평위치보다 수직위치의 오차가 상대적으로 큼
Q144.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사고가 발생한 경우 조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?
① 초경량비행장치사고를 일으킨 조종자 또는 소유자등은 사고 발생 시 지방항공청장에게 보고해야 한다.
② 초경량비행장치가 추락하였으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사고에 해당하지 않는다.
③ 초경량비행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거나 초경량비행장치에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사고에 해당한다.
④ 초경량비행장치에 의한 사람의 사망, 중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사고에 해당한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내염의 원인과 구내염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자! (0) | 2023.06.27 |
---|---|
알뜰폰의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자! (0) | 2023.06.20 |
털린내정보찾기서비스 알아보자! (0) | 2023.06.11 |
초단기강수예측 알아보자! (0) | 2023.06.11 |
드론 4종 자격증 무료로 취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! (0) | 2023.06.05 |